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투자는 마인드 컨트롤이 필요합니다

by 쿠르버그 2022. 11. 1.
반응형

 

자신의 주식 투자 스타일

사람마다 자신만의 성격과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심한 사람, 적극적인 사람, 부드러운 사람, 공격적인 사람 등 세상에는 수많은 종류의 사람들이 살고 있습니다. 주식 투자도 각자의 성향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단기적 트레이딩을 통해 조금씩 이익을 얻는 전략, 일주일 혹은 몇 달에 걸쳐 트렌드 변화에 따른 주가 변화에서 기회를 포착하는 전략, 5년 이상의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기업을 선택하여 꾸준히 투자하는 전략 등 여러 가지 스타일이 존재합니다. 당신은 어떤 스타일인가요? 단기 트레이딩인가요? 스윙 트레이딩인가요? 아니면 장기적 가치 투자자인가요? 서로 다른 투자 스타일에는 서로 다른 전략이 필요합니다. 장기적 가치 투자자가 단기적 이슈에 따라 투자를 한다면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투자를 시작하기 전, 어떤 투자 전략을 선택할지 반드시 정해야만 합니다.

 

투자에 필요한 마인드 컨트롤

역사적으로 성공한 투자자들은 각기 다른 전략을 취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하나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마인드 컨트롤입니다. 그들은 단기 트레이딩이든 장기 투자이든 간에 다른 사람과는 차별화된 사고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주위 시장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습니다. 흔히 주식 투자를 양치기에 비유합니다. 평원에 무리를 지어 돌아다니는 양들은 평소에는 온화합니다. 그러나 약간의 위험을 감지하기만 해도 즉시 반응하여 도망갑니다. 그것도 무리를 지어 이쪽으로 갔다가 저쪽으로도 갑니다. 여기서 양들은 일반적인 투자자를 말합니다. 그리고 이 양들을 조용히 사냥하는 한 마리의 늑대가 있습니다. 이 늑대는 어떤 위험이 진짜 위험인지 가려낼 통찰력이 있습니다. 또한 작은 소용돌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조용히 전체적인 상황을 주시합니다. 그러다 기회가 포착되면 순식간에 기회를 사냥합니다. 이 늑대가 바로 성공하는 투자자입니다. 성공한 투자자인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부하뇌동파가 되지 말고 소신파 투자자가 되라고 조언합니다.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은 조그만 이슈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시장 분위기에 편승합니다. 따라서 주가가 오를 대로 올랐을 때 사고 주가가 내릴 대로 내렸을 때 주식을 매도합니다. 하지만 소신파는 그 과정을 멀리서 관찰합니다. 그러다가 남들이 보지 못하는 기회를 포착하고, 시장이 과열됨을 인지하여 빠져나옵니다. 투자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신파 투자자들처럼 자신의 마인드를 훈련시켜야만 합니다. 시장 과열 상태를 포착할 수 있도록 평정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시장이 과민 반응하여 필요 이상으로 가격이 하락한 상황을 포착할 수 있도록 냉정한 판단을 내려야 합니다. 

 

마인드 컨트롤을 위한 가치관

보통 투자를 시작하는 사람들은 높은 수익을 기대합니다. 투자를 할 때는 수익을 기대하는 건 당연하지만, 그것만으로 성공할 수 없습니다. 자신이 투자를 할 때 어떤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게 됩니다. 단기 트레이딩이 아니라면, 그 기업의 어떤 면을 보고 매수했는지를 남들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무엇을 보고 투자했나요? 단순히 뉴스와 주변 사람들의 소문을 통해 매수했나요? 아니면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 그에 부합하는 기업을 매수했나요? 투자는 결국 미래의 가치를 찾는 행동입니다. 자신의 투자 철학을 통해 이 가치 찾기 게임에서 승리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어떤 투자 철학을 가지고 있나요? 투자 철학 또는 가치관이 있어야,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마인드 컨트롤이란 이런 것입니다. 주변에 휘둘리지 않는 확고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야, 잠깐의 이슈 또는 뉴스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으며 잘못된 투자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워런 버핏의 투자 철학은 좋은 기업의 주식을 무기한 보유하는 것입니다. 그가 말하는 좋은 기업이란 자기 자본 이익률이 높고, 경영진이 정직하고 유능하며, 주가의 평가가 과장되지 않은 기업입니다. 그 외의 정보는 그에겐 의미가 없습니다. 뉴스에서 시장 폭락을 떠들어 대든 상관없이 자신만의 기준만 충족된다면 주식을 무기한 보유합니다. 심지어 그는 자신이 투자하는 기업의 주가가 내려가기를 바랍니다. 왜냐하면 기업의 영업 능력은 변함없는데 주가가 낮아지기만 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좋은 기회입니다. 혼마 무네히사, 제시 리버모어는 어떤가요? 그 둘은 분명 워런 버핏처럼 무기한 투자를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자주 매매하지 않습니다. 일 년에 단 몇 번만 투자합니다. 그들은 평소에 시장을 관찰하며 수익의 기회를 기다립니다. 그러다 자신이 원하는 기회가 포착되면 공격적으로 투자합니다. 이렇게 성공한 투자자들은 자신만의 투자 철학과 기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만의 페이스로 투자를 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기회가 아니면 매매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