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훌륭한 우량기업에 투자하면 높은 수익을 얻을까요?

by 쿠르버그 2022. 11. 6.
반응형

 

우량기업의 정의

어떤 기업이 우량기업일까요? 재무 실적을 평가하여 기업의 투자 대비 이익률이 높은 기업일까요? 아니면 경영진이 주주의 이익을 생각해주는 기업이 우량기업일까요? 이 글에서는 나누어서 설명합니다.

 

재무실적, 경제적 부가가치 그리고 투자 수익률

우선 재무실적을 생각해봅시다. 재무실적이 좋은 기업이란 최대한 낮은 비용으로 자본을 조달하여 높은 이익을 발생시키는 기업입니다. 또한 경영진은 속해있는 산업에서 좋은 투자 기회를 발견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를 통틀어서 기업의 경제적 부가가치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올바른 질문은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기업은 주가가 장기적으로 상승할까요?'입니다. 기업의 부가가치가 높다면 주가는 따라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매번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거시 경제 상황 때문에 기업의 주가가 실적과 관계없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적이 상승했더라도, 시장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다면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즉, 주가의 등락은 주로 시장의 기대에 좌우됩니다. 충분히 성숙한 기업은 시장의 기대가 낮습니다. 따라서 어떤 뉴스에서 경제적 부가가치의 증가를 암시한다면 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망 성장주는 성장 기대 수준이 높기 때문에, 기대 수준보다 낮은 실적은 주가 하락 압력을 가져옵니다. 따라서 경제적 부가가치와 주가 수익률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무조건 믿어서는 안 됩니다.

 

기업 지배구조와 투자 수익률

이사회, 경영진 등 기업의 지배구조가 더 건전하면 주가 수익률도 좋을까요? 일반적으로 기업이 주주의 권한을 강화할 때 주가가 상승합니다. 이는 당연한 결과입니다. 시장 참여자들은 주주와 예비 주주이고, 그들에게 이익을 주는 행동은 주가를 상승시키기에 충분한 소재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기업이 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일까요? 이사회의 규모가 작고 활동적이면 건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 기업의 가치가 그렇지 못한 기업의 가치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주가의 움직임과는 별로 상관이 없습니다. 즉 기업이 주주의 권한을 강화할 때 주가가 상승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가치가 상승하고 나면 더 이상 지배구조의 건전성으로 얻을 수 있는 투자 수익은 없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특정 기업이 주주의 이익을 강화한다는 소식이 발생하기 전에 이미 그 기업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과연 이게 가능할까요?

 

초우량 기업

톰 피터스의 저서, 『초우량 기업의 조건』에서는 초우량 기업을 분석했습니다. 그가 말하는 초우량 기업은 자산 증가율(10% 이상), 자기 자본 증가율(약 9.37%), 자본 이익률(10% 이상), 자기 자본 이익률(10% 이상), 순이익률(약 6.4%)이 각각 특정 조건을 만족합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초우량 기업은 재무 실적이 평균보다 우수한 기업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초우량 기업은 투자 수익률도 높을까요? 답은 '아니요'입니다. 초우량 기업이 재무실적은 평균보다 높지만, 투자 수익률은 비우량 기업보다 낮습니다. 

 

신용등급(S&P 주식 등급)

신용 평가사 S&P는 기업의 신용등급을 조사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에 적합한 기업인지를 보여주는 신용등급을 발표합니다. 보통 성장 기업은 등급이 낮고, 재무 실적이 높은 성숙 기업은 등급이 높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등급이 낮은 기업의 투자 수익률이 더 높습니다. 이는 당연한 결과인데, 등급이 낮다는 말은 기업이 아직 성장 가능성이 있다는 말과 비슷합니다. 위험이 높지만, 성장 가능성이 높아 투자 수익률이 높게 발생합니다.

 

주의할 점

경영이 훌륭한, 재무 실적이 높거나 기업 지배구조가 건전한 기업에 대한 투자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현재 주가에 이미 이런 프리미엄이 반영되어 있을 경우, 더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이 기업이 성장할 척도로 사용한다면 투자할 수 있지만, 단순히 우량기업 프리미엄을 보고 투자한다면 낭패를 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주가에 이런 프리미엄이 반영되어 있다면 향후 프리미엄이 훼손되었을 때 주가가 하락할 것입니다. 더 나쁜 상황은, 시장이 우량 기업을 과대평가했을 때입니다. 이러면 근시일 내로 주가가 하락할 확률이 높습니다. 시장이 기업을 과소평가할 때 이 전략으로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자라면 여러 기업 평가 지표와 더불어, 자신만의 투자 척도를 만들어서 이를 평가해야 할 것입니다. 시장이 보지 못한 기업의 장점을 발견한 투자자는 반드시 초과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